뮤직_비즈니스:distribution:음원수익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뮤직_비즈니스:distribution:음원수익 [2024/09/03] – [수익 분배] 정승환 | 뮤직_비즈니스:distribution:음원수익 [2025/04/16] (현재) – 정승환 | ||
---|---|---|---|
줄 21: | 줄 21: | ||
* 실연자 수익 : 음원을 노래하거나 연주한 것에 대한 " | * 실연자 수익 : 음원을 노래하거나 연주한 것에 대한 " | ||
- | ====수익 분배==== | ||
- | * **음반 판매 수익(저작인접권)** : 제작사(레이블)에서 판매 수익을 아티스트와의 계약 조건에 따라 서로 분배한다. | ||
- | * **유통 수익(저작인접권)** : 도매점과 소매점은 음반의 유통 마진을 이용하여 수익을 얻는다. | ||
- | * **저작권 수익** : 저작권 협회에서 저작권자에게 분배 | ||
- | * **실연자 수익(저작인접권)** : 실연자 협회에서 실연자(아티스트 및 스튜디오 세션 뮤지션)에게 분배 | ||
=====온라인 수익(음원 수익)===== | =====온라인 수익(음원 수익)===== | ||
줄 44: | 줄 39: | ||
* **음원 제작 수익(저작인접권)** : 유통 업체에서 분배(보통 제작사는 이 수익을 아티스트와 계약을 맺어 다시 분배한다.) | * **음원 제작 수익(저작인접권)** : 유통 업체에서 분배(보통 제작사는 이 수익을 아티스트와 계약을 맺어 다시 분배한다.) | ||
- | * **서비스 사업자 수익** : 음원 플랫폼 수익과 디스트리뷰터(배급사) 수익을 합하여 말한다. 오프라인 수익에서 유통 마진 수익에 해당한다. | + | * **서비스 사업자 수익(저작인접권)** : 음원 플랫폼 수익과 디스트리뷰터(배급사) 수익을 합하여 말한다. |
- | * **저작권 수익** : 저작권 협회에서 분배 | + | * **저작권 수익** : 저작권 협회에서 분배((저작권 수익이 많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저작권자는 곡비, 편곡비, 작곡비 등으로 따로 비용을 받기도 한다.)) |
- | * **실연자 수익(저작인접권)** : 실연자 협회에서 분배 | + | * **실연자 수익(저작인접권)** : 실연자 협회에서 분배((실연권 수익이 많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레코딩 세션 연주자는 세션비 등으로 따로 비용을 받기도 한다.)) |
====실제 예시==== | ====실제 예시==== | ||
줄 62: | 줄 57: | ||
===저작권 수익=== | ===저작권 수익=== | ||
- | 이때 사실 키쓰잘해 트리오의 2곡을 작곡/ | + | 이때 사실 키쓰잘해 트리오의 2곡을 작곡/ |
===실연자 수익(저작인접권)=== | ===실연자 수익(저작인접권)=== | ||
이때 키쓰잘해 트리오의 3명의 멤버 모두 음반에 수록된 전 곡을 연주했고, | 이때 키쓰잘해 트리오의 3명의 멤버 모두 음반에 수록된 전 곡을 연주했고, | ||
줄 68: | 줄 63: | ||
- | https:// | + | * https:// |
- | + | | |
- | https:// | + | |
줄 82: | 줄 76: | ||
====서비스 사업자 비율에 대한 오해==== | ====서비스 사업자 비율에 대한 오해==== | ||
- | 서비스 사업자 비율이 왜이렇게 높냐고 이야기 하시는 분들도 가끔 보입니다. 하지만, 이 비율은 다른 산업들과 비교하면 상품에 대한 도매, 소매 유통 마진 이익에 해당합니다. 다른 산업에 비해서 크게 높은 비율이 아니고 비슷한 비율로 보입니다. | + | 서비스 사업자 비율이 왜이렇게 높냐고 이야기 하시는 분들도 가끔 보입니다. 하지만, 이 비율은 다른 산업들과 비교하면 상품에 대한 도매, 소매 유통 마진 이익에 해당합니다. |
또, 서비스 사업자들도 음원 플랫폼을 유지 보수 하고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판매 서버를 운영하는 비용이 있습니다. 배급사들도 음원 플랫폼에 음원 정보를 정리하여 제공하고 음원을 수집, 보유, 수익 정산 및 배분에 대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떤 음원이 어디에서 몇번 재생 되었는지 카운트를 하여 저작인접권, | 또, 서비스 사업자들도 음원 플랫폼을 유지 보수 하고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판매 서버를 운영하는 비용이 있습니다. 배급사들도 음원 플랫폼에 음원 정보를 정리하여 제공하고 음원을 수집, 보유, 수익 정산 및 배분에 대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떤 음원이 어디에서 몇번 재생 되었는지 카운트를 하여 저작인접권, | ||
줄 88: | 줄 82: | ||
<WRAP info> | <WRAP info> | ||
- | ====근본적인 문제는 | + | {{tag> |
- | **한달에 5000~10000원의 요금으로 무제한의 음악을 듣을 수 있는 요금제는 결국 음악 제작자, 뮤지션들은 허락한적 없는 떨이 판매입니다.**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뮤직_비즈니스/distribution/음원수익.172533493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9/0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