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earphone_and_headphone:hp_ep_measuremen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earphone_and_headphone:hp_ep_measurement [2023/07/24] – 정승환 | 음향:earphone_and_headphone:hp_ep_measurement [2025/03/27]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정승환 | ||
---|---|---|---|
줄 10: | 줄 10: | ||
* d) insert | * d) insert |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
+ | </ | ||
- | 외이도의 공명과 귓바퀴의 반사, 그리고 두상과 신체에 의한 영향은 고막에 전달되는 주파수 응답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헤드폰과 이어폰에서는 위와 같은 유형에 의해 이러한 공명의 전체 또는 일부의 반응이 사라진다. | + | 외이도의 공명과 귓바퀴의 반사, 그리고 두상과 신체에 의한 영향은 고막에 전달되는 주파수 응답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헤드폰과 이어폰을 통한 소리 청취에서는 위와 같은 유형에 의해 |
따라서 헤드폰과 이어폰의 측정에서는 이러한 주파수 응답 반응의 차이 때문에 실제의 고막의 위치와 유사하게 **DRP(Drum Reference Point)**에서 측정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따라서 헤드폰과 이어폰의 측정에서는 이러한 주파수 응답 반응의 차이 때문에 실제의 고막의 위치와 유사하게 **DRP(Drum Reference Point)**에서 측정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
+ | 아래에 나열된 이어 시뮬레이터 또는 HATS 등의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때 기준은 1mW 또는 94dBSPL@500Hz 사인파로 레벨을 일치시켜 측정하게 된다. | ||
=====IEC 60318-4(IEC 60711) 이어 시뮬레이터===== | =====IEC 60318-4(IEC 60711) 이어 시뮬레이터===== | ||
줄 45: | 줄 48: | ||
{{ : | {{ : | ||
+ | |||
=====측정 마이크와 HATS+이어 시뮬레이터 측정의 차이===== | =====측정 마이크와 HATS+이어 시뮬레이터 측정의 차이===== | ||
줄 51: | 줄 55: | ||
무향실에서 스피커를 통한 플랫한 주파수 재생은 측정 마이크로는 플랫하게 측정된다. | 무향실에서 스피커를 통한 플랫한 주파수 재생은 측정 마이크로는 플랫하게 측정된다. | ||
- | 하지만, HATS 에 이어 시뮬레이터와 인공 귓바퀴를 장착한 경우의 측정에서는 3kHz 부근과 15kHz 부근이 증폭된 전혀 다른 주파수 반응이 측정된다. 이것은 사람의 Ear Response 및 HTRF(머리 전달 함수)에 따라 주파수가 변형되어 우리 귀의 고막에 최종적으로 전달 된 주파수 반응이다. | + | 하지만, HATS 에 이어 시뮬레이터와 인공 귓바퀴를 장착한 경우의 측정에서는 3kHz 부근과 15kHz 부근이 증폭된 전혀 다른 주파수 반응이 측정된다. 이것은 사람의 Ear Response 및 HRTF(머리 전달 함수)에 따라 주파수가 변형되어 우리 귀의 고막에 최종적으로 전달 된 주파수 반응이다. |
- | {{page> | + | {{page> |
=====Target===== | =====Target===== | ||
줄 59: | 줄 63: | ||
{{ : | {{ : | ||
- | 이와 같은 변경된 주파수 반응은 Free-field 의 경우와 | + | 이와 같은 변경된 주파수 반응은 Free-field 의 경우와 |
따라서,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다시 아래의 4가지의 위치에서 재생하여 측정하는 경우에는 역으로 이러한 변경된 주파수 반응과 유사한 주파수 반응이 재생되었을 때 우리 귀에는 평탄한 주파수로 인식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 따라서,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다시 아래의 4가지의 위치에서 재생하여 측정하는 경우에는 역으로 이러한 변경된 주파수 반응과 유사한 주파수 반응이 재생되었을 때 우리 귀에는 평탄한 주파수로 인식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 ||
줄 65: | 줄 69: | ||
{{ : | {{ : | ||
- | 초창기에는 Free-field target 기준을 사용했지만 지금은 | + | 초창기에는 Free-field target 기준을 사용했지만 지금은 |
현재는 대부분의 이어폰과 헤드폰은 하만 타겟을 기준으로 만들어 지고 있다. | 현재는 대부분의 이어폰과 헤드폰은 하만 타겟을 기준으로 만들어 지고 있다. | ||
줄 75: | 줄 79: | ||
하만 타겟 또는 Diffuse Target 등, 특정 Target 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 된 주파수 반응을 다시 그리는 것. Target 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실제 귀로 느껴질 주파수 반응의 플랫한 정도를 알아보기 쉽다. | 하만 타겟 또는 Diffuse Target 등, 특정 Target 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 된 주파수 반응을 다시 그리는 것. Target 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실제 귀로 느껴질 주파수 반응의 플랫한 정도를 알아보기 쉽다. |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왼쪽은 실제 측정 된 주파수 반응이고, | ||
- | 왼쪽은 실제 측정 된 주파수 반응이고, | ||
======HD600 측정치 예시====== | ======HD600 측정치 예시====== | ||
줄 83: | 줄 88: | ||
**Sennheiser HD600** | **Sennheiser HD600** | ||
- | https:// | + | * https:// |
- | + | | |
- | https:// | + | |
- | + | ||
- | Rtings의 Target 은 자체 Target curve를 사용한다고 한다. 저음역대 타겟은 하만 타겟에서 인용하고, | + | |
- | + | ||
- | =====Raw Frequency Response===== | + | |
- | + | ||
- | 실제 이어 시뮬레이터로 측정한 RAW 데이터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Target Compensated Frequency Response===== | + | |
- | Target | + | Rtings의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Raw Frequency Response, 실제 이어 시뮬레이터로 측정한 RAW 데이터 이다.</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Target Compensated Frequency Response, Target에 맞춰서 RAW 데이터를 보정한 데이터이다. 실제 청감상 느껴지는 주파수 반응에 가까울 것이라고 예상된다.</ | ||
+ | ======Reference====== | ||
+ | * https:// | ||
+ | * https:// | ||
+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earphone_and_headphone/hp_ep_measurement.169018426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7/24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