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level:nominal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음향:level:nominal [2024/12/23] – 바깥 편집 127.0.0.1음향:level:nominal [2025/04/07]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3: 줄 3:
 **Nominal level, 공칭 레벨** **Nominal level, 공칭 레벨**
  
-떤 장비가 운영되는 **실제 기준 레벨**을 말합니다. ((그 장비의 기준 레벨)) 즉, 이는 그 장비가 가장 정상적인 소리를 내기 위한 점을 의미합니다.+노미널은 라틴어 **“Nomen”**에서 유래된 단어로, **“이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노미널은 **명목상의**라는 의미를 가지며, 장비가 운영되는 대표적인 기준 레벨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장비가 가장 정상적이고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기준(레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국제 표준((EBU, SMPTE 등))으로 정해진 라인 레벨의 기준은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이지만, 이 값이 장비의 노미널 레벨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만약 어떤 장비의 노미널 레벨이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라면, 그 장비는 표준(Reference)에 맞게 만들어진 것입니다. 만약 그 표준에 맞게 만들어진 장비가 디지털로 신호를 처리하는 장비(A/D, D/A 컨버터, 오디오 인터페이스, 디지털 멀티 트랙 녹음기 등)라면, 노미널 레벨이 디지털 레퍼런스 레벨에 맞춰져 있을 것입니다. 즉,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는 [[음향:level:reference_level:18dbfs|-18dBFS]]에 해당합니다.+예를 들어, 국제 표준((EBU, SMPTE 등))으로 정해진 라인 레벨의 기준은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이지만, 이 값이 장비의 노미널 레벨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만약 어떤 장비의 노미널 레벨이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라면, 그 장비는 표준(레퍼런스)에 맞게 만들어진 것입니다. 만약 그 표준에 맞게 만들어진 장비가 디지털로 신호를 처리하는 장비(A-D, D-A 컨버터, 오디오 인터페이스, 디지털 멀티 트랙 녹음기 등)라면, 노미널 레벨이 디지털 레퍼런스 레벨에 맞춰져 있을 것입니다. 즉,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는 [[음향:level:reference_level:18dbfs|-18dBFS]]에 해당합니다.
  
 반대로 노미널 레벨이 -8dBu라면, 그 장비는 -8dBu(RMS)에서 운영되도록 설계된 것이며, 이는 표준인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와는 맞지 않는 장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장비가 디지털 기능이 있는 장비((예: 오디오 인터페이스))라면 해당 -8dBu는 [[음향:level:reference_level:18dbfs|-18dBFS]]로 설정되어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노미널 레벨이 -8dBu라면, 그 장비는 -8dBu(RMS)에서 운영되도록 설계된 것이며, 이는 표준인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와는 맞지 않는 장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장비가 디지털 기능이 있는 장비((예: 오디오 인터페이스))라면 해당 -8dBu는 [[음향:level:reference_level:18dbfs|-18dBFS]]로 설정되어 있을 것입니다.
줄 14: 줄 14:
 아날로그 장비의 경우는 원칙적으로 라인 레벨 입출력은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 컨슈머 레벨 입출력은 [[음향:level:reference_level:10dbv|-10dBV]]로 제작되는 것이 원칙이며 만약 노미널 레벨이 이와 다르다면 반드시 매뉴얼에 명시 되어있어야 한다. 아날로그 장비의 경우는 원칙적으로 라인 레벨 입출력은 [[음향:level:reference_level:4dbu|+4dBu]], 컨슈머 레벨 입출력은 [[음향:level:reference_level:10dbv|-10dBV]]로 제작되는 것이 원칙이며 만약 노미널 레벨이 이와 다르다면 반드시 매뉴얼에 명시 되어있어야 한다.
  
-만약 어떤 아날로그 장비의 최대 입출력 레벨이 26dBu라면, 이 장비의 노미널 레벨은 별다른 명시가 없을 시 당연히 일반적으로 +4dBu 이고, 헤드룸이 22dB 이다. 또 다른 어떤 장비의 최대 입출력 레벨이 10dBu 라면, 이 장비의 노미널 레벨은 별다른 명시가 없을 시 당연히 일반적으로 +4dBu 이고, 헤드룸은 6dBu 이다. 이런 식으로 아날로그 장비들은 헤드룸이 각기 차이가 나게 된다.+만약 어떤 아날로그 장비의 최대 입출력 레벨이 26dBu라면, 이 장비의 노미널 레벨은 별다른 명시가 없을 시 당연히 일반적으로 +4dBu이고, 헤드룸이 22dB이다. 또 다른 어떤 장비의 최대 입출력 레벨이 10dBu라면, 이 장비의 노미널 레벨은 별다른 명시가 없을 시 당연히 일반적으로 +4dBu이고, 헤드룸은 6dBu이다. 이런 식으로 아날로그 장비들은 헤드룸이 각기 차이가 나게 된다.
  
 {{:음향:level:20230127-013328.png}} {{:음향:level:20230127-013328.png}}
줄 28: 줄 28: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해당 장비의 라인 입출력은 최대 22dBu의 최대 입출력 레벨로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해당 장비의 라인 입출력은 최대 22dBu의 최대 입출력 레벨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노미널 레벨이 +4dBu 가 아니라서 표준에 맞게 만들어지지 않은 장비의 경우, 노미널 레벨이 -10dBu 라면 해당 장비를 EBU 표준에 맞게 만들려면 -10dBu=-18dBFS로 매칭해야 하므로 이 장비의 최대 입출력 레벨은 8dBu 가 된다.((사실 하이엔드 레퍼런스 장비가 아니면 대부분 이런 경우가 많다.국제 표준은 정해져 있지만 표준에 맞게 설계하고 만들기는 비용적/기술적 측면으로 어렵다))+또한, 노미널 레벨이 +4dBu가 아니라서 표준에 맞게 만들어지지 않은 장비의 경우, 노미널 레벨이 -10dBu라면 해당 장비를 EBU 표준에 맞게 만들려면 -10dBu=-18dBFS로 매칭해야 하므로 이 장비의 최대 입출력 레벨은 8dBu가 된다.((사실 하이엔드 레퍼런스 장비가 아니면 대부분 이런 경우가 많다.국제 표준은 정해져 있지만 표준에 맞게 설계하고 만들기는 비용적/기술적 측면으로 어렵다))
  
 ====아날로그 장비를 디지털 장비와의 연결==== ====아날로그 장비를 디지털 장비와의 연결====
  
-아날로그 프리앰프나 아웃보드 등을 디지털 장비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연결하는 경우라던가,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다시 아날로그 장비인 콘솔이나, 액티브 모니터 스피커(파워앰프) 등에 연결하는 경우, 이러한 노미널 레벨을 Trim 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같은 레벨로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아날로그 프리앰프나 아웃보드 등을 디지털 장비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연결하는 경우라던가,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다시 아날로그 장비인 콘솔이나, 액티브 모니터 스피커(파워 앰프) 등에 연결하는 경우, 이러한 노미널 레벨을 트림 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같은 레벨로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경우는 Gain 노브가 마이크 입력에 대해서는 Gain으로 동작하지만, 라인 인풋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Gain 노브가 Trim 노브로 전환되어 사용 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이 Trim 을 이용하여, 서로의 노미널 레벨이 일치하도록 맞춰주게 된다.+예를 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경우는 게인 노브가 마이크 입력에 대해서는 게인으로 동작하지만, 라인 인풋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게인 노브가 트림 노브로 전환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이 트림을 이용하여, 서로의 노미널 레벨이 일치하도록 맞춰주게 된다.
  
 =====레퍼런스 장비===== =====레퍼런스 장비=====
줄 40: 줄 40:
 **노미널 레벨 = 레퍼런스 레벨 인 장비.** **노미널 레벨 = 레퍼런스 레벨 인 장비.**
  
-노미널 레벨을 국제 표준에 맞춰서 +4dBu 로 만들고 위에서 말한 SMPTE나 EBU 표준에 맞춰서 22dBu 나 24dBu 의 최대 입출력 레을 갖추도록 만들어진 장비들은 보통 Reference(표준)라는 이름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노미널 레벨을 국제 표준에 맞춰서 +4dBu로 만들고 위에서 말한 SMPTE나 EBU 표준에 맞춰서 22dBu나 24dBu의 최대 입출력 레을 갖추도록 만들어진 장비들은 보통 레퍼런스(표준)라는 이름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보통 하이엔드 A/D 컨버터, D/A 컨버터로 따로 나오는 제품들같은경우는 당연히 표준에 맞게 만들어지고, 여러가지 입출력 레벨에 호환 가능하도록, 다양한 설정값으로 설정까지 가능하다.+보통 하이엔드 A-D 컨버터, D-A 컨버터로 따로 나오는 제품들같은 경우는 당연히 표준에 맞게 만들어지고, 여러가지 입출력 레벨에 호환 가능하도록, 다양한 설정값으로 설정까지 가능하다.
  
 =====실제 장비 예시===== =====실제 장비 예시=====
줄 52: 줄 52:
 이 제품의 마이크 레벨 인풋의 스펙은, 최대 입력 레벨이 8dBu라고 되어있고, 노미널 레벨은 -12dBu라고 되어있다.\\ 이 제품의 마이크 레벨 인풋의 스펙은, 최대 입력 레벨이 8dBu라고 되어있고, 노미널 레벨은 -12dBu라고 되어있다.\\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711.png}}\\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711.png}}\\
-실제 측정을 해봐야 정확하겠지만, ((필자도 이 장비를 사용해보지는 않았다. 실제 사용해본 사람들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12dBu라고 되어있는 부분이 디지털 장비의 SMPTE 레퍼런스 레벨인 -20dBFS에 매칭이 되어있을 가능성이 높다 . 따라서 -12dBu와 -20dBFS의 차이를 구하면, +8dBu=0dBFS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이 프리앰프가 20dB의 헤드룸을 가지고 있음을 말한다.+실제 측정을 해봐야 정확하겠지만, ((필자도 이 장비를 사용해보지는 않았다. 실제 사용해본 사람들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12dBu라고 되어있는 부분이 디지털 장비의 SMPTE 레퍼런스 레벨인 -20dBFS에 매칭이 되어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12dBu와 -20dBFS의 차이를 구하면, +8dBu=0dBFS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이 프리앰프가 20dB의 헤드룸을 가지고 있음을 말한다.
  
 이 제품의 라인 레벨 인풋 스펙도 살펴보자.\\ 이 제품의 라인 레벨 인풋 스펙도 살펴보자.\\
줄 64: 줄 64:
 스펙만으로 살펴볼 때, 이 타스캄의 20X20은 표준에 맞게 설계된 레퍼런스 장비라고 봐도 무방하다. 스펙만으로 살펴볼 때, 이 타스캄의 20X20은 표준에 맞게 설계된 레퍼런스 장비라고 봐도 무방하다.
  
-===Tascam Model 16=== 
-타스캄의 다른 제품인 Model 16에 대해서도 살펴보자.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755.png}} 
- 
-이 제품의 마이크 레벨 인풋의 최대 입력 레벨 +10dBu, 이고 노미널 레벨은 -8dBu이므로, -8dBu=-18dBFS, 그리고 +10dBu=0dBFS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18dBu의 헤드룸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801.png}} 
- 
-라인 레벨 인풋의 최대 입력 레벨은 22dBu, 노미널 레벨은 4dBu로, 레퍼런스 레벨의 기준을 잘 따르고 있는 듯하다.\\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808.png}} 
- 
-메인 아웃의 최대 출력 레벨은 22dBu, 노미널은 4dBu로, 역시 레퍼런스 레벨의 기준을 잘 따르고 있는 듯하다.\\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814.png}} 
 ===RME Fireface UFX II=== ===RME Fireface UFX II===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839.png}}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839.png}}
줄 93: 줄 81: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911.png}}\\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911.png}}\\
-Roland 스튜디오 캡춰의 경우 Input 레벨을 보면 노미널에 +4dBu((XLR 에서는 -2dBu))라 쓰여있다. 이 표기에 의하면 인풋 노미널 레벨 +4dBu=-18dBFS 로 설정되어 있고, 최대 입력 레벨 = 22dBu 라는 말이 된다.((XLR(마이크 입력)에서는 -2dBu 노미널 이므로, -2dBu=-18dBFS 이므로, 마이크 입력의 최대 입력 레벨 = 16dBu 이다. 마이크 프리앰프 입력 레벨로는 아주 고성능의 프리앰프이다.))+Roland 스튜디오 캡춰의 경우 노미널 인풋 레벨이 +4dBu((XLR에서는 -2dBu))라 쓰여있다. 이 표기에 의하면 노미널 인풋 레벨은 +4dBu = -18dBFS로 설정되어있고, 최대 입력 레벨 = 22dBu라는 말이 된다.((XLR(마이크 입력)에서는 -2dBu 이므로, -2dBu=-18dBFS이다. 따라서, 마이크 입력의 최대 입력 레벨 = 16dBu이다. 마이크 프리앰프 입력 레벨로는 아주 고성능의 프리앰프이다.))
  
-아웃풋 레벨도 마찬가지로, +4dBu 노미널 레벨이므로, +4dBu=-18dBFS, 최대 출력 레벨 = 22dBu 라는 뜻이다.+아웃풋 레벨도 마찬가지로, +4dBu 노미널 레벨이므로, +4dBu=-18dBFS, 최대 출력 레벨 = 22dBu라는 뜻이다.
  
-이러한 스펙으로 볼 때 Roland 스튜디오 캡춰는 Reference 급의 제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이러한 스펙으로 볼 때 Roland 스튜디오 캡춰는 레퍼런스급의 제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Roland Octa Capture=== ===Roland Octa Capture===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936.png}}\\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936.png}}\\
-위의 스튜디오 캡춰에 비해 한단계 아래급의 제품인 옥타 캡춰는, 인풋 레벨에 0dBu((XLR 에서는 -6dBu))가 노미널이다. 이 표기에 의하면 0dBu=-18dBFS이므로, 최대 입력 레벨 = 18dBu이다. ((XLR 마이크 입력에서는 -6dBu 노미널이므로, -6dBu=-18dBFS 이므로, 마이크 입력의 최대 입력 레벨 = 12dBu 이다. 준수한 고성능의 마이크 프리앰프라고 볼 수 있다. ))+위의 스튜디오 캡춰에 비해 한단계 아래급의 제품인 옥타 캡춰는, 인풋 레벨에 0dBu((XLR 에서는 -6dBu))가 노미널이다. 이 표기에 의하면 0dBu=-18dBFS이므로, 최대 입력 레벨 = 18dBu이다. ((XLR 마이크 입력에서는 -6dBu 노미널이므로, -6dBu=-18dBFS 이므로, 마이크 입력의 최대 입력 레벨 = 12dBu이다. 준수한 고성능의 마이크 프리앰프라고 볼 수 있다. ))
  
 아웃풋 레벨에서는, 0dBu가 노미널 레벨이므로, 0dBu=-18dBFS, 최대 출력 레벨 = 18dBu이다. 아웃풋 레벨에서는, 0dBu가 노미널 레벨이므로, 0dBu=-18dBFS, 최대 출력 레벨 = 18dBu이다.
줄 113: 줄 101: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958.png}} {{음향:level:nominal:pasted:20220112-194958.png}}
  
-LA-2A 의 경우에는 600Ω 이 라인 레벨의 표준 임피던스일 때 만들어진 제품이라 dBm 표기를 하고 있지만 현대에 맞춰서 바로 dBu 로 해석해도 무방하리라 생각된다. +LA-2A 의 경우에는 600Ω 이 라인 레벨의 표준 임피던스일 때 만들어진 제품이라 dBm 표기를 하고 있지만 현대에 맞춰서 바로 dBu로 해석해도 무방하리라 생각된다. 
-즉 최대 입력 레벨은 16dBu, 아웃풋 레벨은 10dBu 노미널에16dBu Max 이다.+즉 최대 입력 레벨은 16dBu, 아웃풋 레벨은 10dBu 노미널에 최대 16dBu이다.
  
 이 장비의 오리지널의 입출력 부분은 XLR이나 TRS를 사용하지 않고 전선 결속으로 사용하도록 나왔던 제품으로, 사실 오리지널 장비에서 밸런스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오래된 믹싱 콘솔의 대부분은 인서트 부분이 언밸런스 설계이다.))를 기본으로 전제하여 맞춰져 있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하여간, 현대 레퍼런스 레벨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지금에 와서 사용하기에는 여러모로 사용 상의 애매함이 존재한다. 이 장비의 오리지널의 입출력 부분은 XLR이나 TRS를 사용하지 않고 전선 결속으로 사용하도록 나왔던 제품으로, 사실 오리지널 장비에서 밸런스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오래된 믹싱 콘솔의 대부분은 인서트 부분이 언밸런스 설계이다.))를 기본으로 전제하여 맞춰져 있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하여간, 현대 레퍼런스 레벨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지금에 와서 사용하기에는 여러모로 사용 상의 애매함이 존재한다.
줄 126: 줄 114:
   * 모든 장비들을 레퍼런스 장비로 만들면 장비 가격들이 너무 비싸진다.   * 모든 장비들을 레퍼런스 장비로 만들면 장비 가격들이 너무 비싸진다.
  
-  {{tag>"레벨"}}+{{soundcloud>riversidejazz/sets/recordingsamples?full }}\\ 
 + 
 +{{tag>노미널 "레벨"}}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level/nominal.173494286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12/23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