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wireless:wireless_iem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wireless:wireless_iem [2024/12/27] – 정승환 | 음향:wireless:wireless_iem [2025/04/17] (현재) – 정승환 | ||
---|---|---|---|
줄 8: | 줄 8: | ||
* 수신기 : Receiver, RX, Bodypack, 무선 신호를 받아서 오디오 출력을 해주는 장비 | * 수신기 : Receiver, RX, Bodypack, 무선 신호를 받아서 오디오 출력을 해주는 장비 | ||
- | 무선 인이어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스테레오 전송을 하기 때문에, 무선 마이크의 경우보다 좀 더 많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즉 4채널을 사용하면 무선 마이크 8개의 사용과 같은 상황이다. 900MHz 아날로그 무선 대역에서는 4개 이상의 채널의 사용도 힘든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무선 인이어는 2 채널 이상도 사용하기 힘들고, 여러개의 무선 마이크들과 함께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운용하는 상황이라면 1 채널 이상 운영하는 것도 매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혼선 방지를 위해서는 무선 인이어는 보통 1개의 송신기로 동시에 여러 대의 바디팩에서 소리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보통 그렇게 사용한다. | + | 무선 인이어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스테레오 전송을 하기 때문에, 무선 마이크의 경우보다 좀 더 많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즉 4채널을 사용하면 무선 마이크 8개의 사용과 같은 상황이다. |
<WRAP centeralign box>{{ 음향: | <WRAP centeralign box>{{ 음향: | ||
줄 46: | 줄 46: | ||
* 5.8GHz | * 5.8GHz | ||
- | 가끔 ISM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기가 있다. ISM 대역의 무선 송수신은 디지털 전송을 하는 장비가 대부분인데, | + | 가끔 ISM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기가 있다. ISM 대역의 무선 송수신은 디지털 전송을 하는 장비가 대부분인데, |
그래서, 저렴한 가격대 때문에 아마추어 환경이나 취미 환경에서는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정확한 녹음 및 모니터링이 필요한 공연장이나 녹음실 환경에서는 사용을 피하고 있다. | 그래서, 저렴한 가격대 때문에 아마추어 환경이나 취미 환경에서는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정확한 녹음 및 모니터링이 필요한 공연장이나 녹음실 환경에서는 사용을 피하고 있다.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wireless/wireless_iem.173523203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12/2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