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마이크로폰의_역사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마이크로폰의_역사 [2024/11/18] – [1904년, 진공관(Vacuum Tube)의 발명] 정승환정승환_컬럼:마이크로폰의_역사 [2025/01/10] (현재) – ↷ 문서가 정승환_컬럼:history_of_audio_tech:마이크로폰의_역사에서 정승환_컬럼:마이크로폰의_역사(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정승환
줄 34: 줄 34:
 | 1961 |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 James E. West and Gerhard M. Sessler at Bell Labs (US) | | 1961 |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 James E. West and Gerhard M. Sessler at Bell Labs (US) |
 | 1965 | Solid-State Condenser Microphone | Advancement in technology (No particular inventor) | | 1965 | Solid-State Condenser Microphone | Advancement in technology (No particular inventor) |
-| 1983 | MEMS Microphone | D. Hohm and Gerhard M. Sessler (US) |+| 1983 | MEMS Microphone | D. HΩ and Gerhard M. Sessler (US) |
 | 2003 | Digital Microphone | Engineers at Georg Neumann GmbH | | 2003 | Digital Microphone | Engineers at Georg Neumann GmbH |
  
줄 239: 줄 239:
  
 ====1983년, MEMS 마이크로폰의 발명==== ====1983년, MEMS 마이크로폰의 발명====
-**실리콘 미세 가공(MEMS 마이크로폰)**을 기반으로 한 첫 번째 마이크로폰은 **1983년**에 **D. Hohm**과 **Gerhard M. Sessler**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실리콘 미세 가공(MEMS 마이크로폰)**을 기반으로 한 첫 번째 마이크로폰은 **1983년**에 **D. HΩ**과 **Gerhard M. Sessler**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
  
 이 두 사람은 본질적으로 **Sessler**가 1962년에 발명한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의 작동 원리를 활용하여,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기술을 적용한 **첫 번째 실리콘 컨덴서 마이크**를 제작했습니다. MEMS 마이크로폰은 마이크 기술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이후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두 사람은 본질적으로 **Sessler**가 1962년에 발명한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의 작동 원리를 활용하여,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기술을 적용한 **첫 번째 실리콘 컨덴서 마이크**를 제작했습니다. MEMS 마이크로폰은 마이크 기술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이후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줄 373: 줄 373:
 여기서 주목할 점은 CMT20이 대중 시장에서 판매되는 최초의 **액티브 트랜스포머리스 마이크** 중 하나로, 밸런스 출력 회로 대신 출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CMT20이 대중 시장에서 판매되는 최초의 **액티브 트랜스포머리스 마이크** 중 하나로, 밸런스 출력 회로 대신 출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Schoeps**는 CMT20을 최초의 **팬텀파워 마이크**로 주장하며, 균형 재생 오디오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9-12V 직류 전원**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최초의 팬텀파워 마이크(현재 표준화된 **+48V 직류**)는 **Neumann KM-84**였다고 주장할 것입니다.+**Schoeps**는 CMT20을 최초의 **팬텀 파워 마이크**로 주장하며, 균형 재생 오디오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9-12V 직류 전원**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최초의 팬텀 파워 마이크(현재 표준화된 **+48V 직류**)는 **Neumann KM-84**였다고 주장할 것입니다.
  
  
  
-====1966년, 최초의 상업용 팬텀파워 (+48V) 마이크 출시====+====1966년, 최초의 상업용 팬텀 파워 (+48V) 마이크 출시====
 <WRAP right column 25%>{{:정승환_컬럼:20231008-234028.png}}</WRAP> <WRAP right column 25%>{{:정승환_컬럼:20231008-234028.png}}</WRAP>
-**1966년에 Neumann GmbH와 노르웨이 방송국(NRK)**이 합작하여 **48V DC 팬텀파워 표준**을 설정하였습니다. 이 표준은 나중에 **DIN 45596**로 표준화되었습니다.+**1966년에 Neumann GmbH와 노르웨이 방송국(NRK)**이 합작하여 **48V DC 팬텀 파워 표준**을 설정하였습니다. 이 표준은 나중에 **DIN 45596**로 표준화되었습니다.
  
-이 새로운 전원 공급 방법이 막 도입된 가운데, Neumann은 대담하게 세계에 처음으로 **팬텀파워 마이크**인 **Neumann KM 84**를 선보였습니다.+이 새로운 전원 공급 방법이 막 도입된 가운데, Neumann은 대담하게 세계에 처음으로 **팬텀 파워 마이크**인 **Neumann KM 84**를 선보였습니다.
  
 KM 84는 작은 다이어프램을 가진 **Externally Polarized** 콘덴서 마이크로폰이었습니다. 이 마이크는 **탑 어드레스** 방식으로, **카디오이드** 마이크로폰이었습니다. KM 84는 작은 다이어프램을 가진 **Externally Polarized** 콘덴서 마이크로폰이었습니다. 이 마이크는 **탑 어드레스** 방식으로, **카디오이드** 마이크로폰이었습니다.
  
-**48V 팬텀파워**는 KM 84의 캡슐을 효과적으로 Polarize하고, 활성 **FET 회로**를 구동했습니다. 이 마이크로폰은 출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했습니다.+**48V 팬텀 파워**는 KM 84의 캡슐을 효과적으로 Polarize하고, 활성 **FET 회로**를 구동했습니다. 이 마이크로폰은 출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했습니다.
  
  
줄 395: 줄 395:
 ECM-22P는 작은 다이어프램 일렉트릿 컨덴서 펜슬형 마이크입니다. 이 마이크는 실용적인 "준영구" 일렉트릿 캡슐을 처음으로 갖춘 것 중 하나였습니다. 이 당시에는 일렉트릿 소재가 그 전기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었지만, 전하는 천천히 사라집니다. ECM-22P는 작은 다이어프램 일렉트릿 컨덴서 펜슬형 마이크입니다. 이 마이크는 실용적인 "준영구" 일렉트릿 캡슐을 처음으로 갖춘 것 중 하나였습니다. 이 당시에는 일렉트릿 소재가 그 전기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었지만, 전하는 천천히 사라집니다.
  
-ECM-22P는 액티브 트랜지스터 회로를 구동하기 위해 팬텀파워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ECM-22P는 액티브 트랜지스터 회로를 구동하기 위해 팬텀 파워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마이크로폰의_역사.173189754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11/18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