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멀티_트랙_레코딩의_역사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멀티_트랙_레코딩의_역사 [2025/01/10]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정승환_컬럼:멀티_트랙_레코딩의_역사 [2025/04/16]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멀티 트랙 레코딩의 역사====== | ||
+ | |||
+ | 멀티 트랙 레코딩은 **다른 전자 음향 신호가 서로 평행하게 움직이는 두 개 이상의 오디오 트랙**으로 녹음되는 것을 말합니다. | ||
+ | |||
+ | 영국의 **Alan Blumlein**은 **1933년**에 **디스크와 영화에 입체음향**과 **서라운드 사운드를 녹음하는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습니다. | ||
+ | |||
+ | |||
+ | =====테이프 레코더===== | ||
+ | |||
+ | [[뮤직_비즈니스: | ||
+ | |||
+ |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는 **현대 멀티 트랙 녹음**의 시초는 **1943년**에 **독일의 AEG 사** 엔지니어에 의해 개발된 장비인 [[유저위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Rudy Van Gelder와 Ampex 레코더</ | ||
+ | |||
+ |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독일의 Magnetophon의 기술은 미국으로 이전되었습니다. **1950년대 중반**, **Ampex** 사는 **Sel-Sync** 기술이 적용된 **8 트랙 멀티 트랙 레코더**를 개발했습니다. 이 레코더의 최초의 구매자는 **Les Paul**이었습니다. | ||
+ | |||
+ | [[https:// | ||
+ | |||
+ | {{정승환_컬럼: | ||
+ | |||
+ | 그러나 그 당시에도 많은 미국 스튜디오들은 여전히 **3 트랙 레코더**를 선호했습니다. **3 트랙 레코더**는 스테레오 배킹 트랙에 리드 보컬을 더빙하는 방식으로, | ||
+ | |||
+ | 주로 **밴드 반주를 아날로그 믹서를 통해 스테레오로 원테이크**로 녹음하고(연주 실수는 용납되지 않았음), 리드 보컬을 나머지 한 트랙에 녹음하는 방식이었습니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Rudy van gelder(블루 노트 레코드)의 50/50 method((Rudy Van Gelder 이전의 레코딩은 마이크 몇 개를 여기저기 배치해서 통으로 녹음 받는 경우가 많았다, Rudy Van Gelder는 거기에서 탈피하여 모종의 이유로 각 악기에 가깝게 마이크를 배치하고 믹싱 콘솔로 밸런스를 조절하여 밴드의 전체 밸런스를 조절하려 했다. 그래서 Charles Mingus 같은 전통적인 재즈 연주자들은 Rudy Van Gelder한테 녹음하지 않으려는 사람도 많았다고 한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Ampex model 300** - 3-track mono</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Ampex model 300 3**</ | ||
+ | |||
+ | 1960년대 중반의 **스튜디오 표준**은 **4 트랙 레코더**였습니다. 비틀즈와 롤링 스톤즈의 대부분 음반이 이 4 트랙 레코더로 녹음되었습니다. 런던의 **Abbey Road 스튜디오**의 엔지니어들은 **" | ||
+ | |||
+ | 이러한 오버 더빙 믹스 방식은 수십 개의 트랙을 녹음하여 복잡한 음악을 하나의 완성된 곡으로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 기술 덕분에 아티스트들은 다양한 사운드를 실험하고 조합하여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악을 창조할 수 있었습니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Studer J37** - 4-track 레코더</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Ampex AG440**</ | ||
+ | |||
+ | 1960년대 후반, **8 트랙 레코더**들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비틀즈**의 **Sgt. Pepper'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Abbeyroad 스튜디오에서 사용했던 것과 같은 모델로 추정되는 Studer 8 트랙 레코더</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TEAC 8-track**</ | ||
+ | |||
+ | 1967년, **Ampex** 사는 뉴욕의 **Mirasound Studio**의 요청으로 최초의 **16 트랙 레코더**를 제작했습니다. 이 레코더는 **2" 테이프**를 사용했습니다. 이 머신은 매우 무겁고 크며,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고, 가격도 매우 비쌌습니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Ampex MM1000**</ | ||
+ | |||
+ | 1968년 12월 출시된 **Blood, Sweat & Tears**의 두 번째 앨범은 **CBS 스튜디오**에서 **16 트랙**으로 녹음되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프랭크 자파**, **제퍼슨 에어플레인** 등의 앨범들이 **Ampex MM1000 16 트랙 레코더**로 녹음되었습니다. | ||
+ | |||
+ | 이 이후에는 전 세계에 **16 트랙** 및 **24 트랙 레코더**들이 보급되면서 많은 앨범들이 멀티 트랙으로 녹음되었습니다. 트랙이 많아지면서 녹음은 빈 트랙에 새로운 악기를 추가하기가 쉬워졌고,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Studer A800 mkIII**</ | ||
+ | |||
+ |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테이프 대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바뀌기 시작합니다. | ||
+ | |||
+ | =====Digital Multitrack 녹음===== | ||
+ | |||
+ | **1970년대 후반**에 **3M**이 최초의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를 출시했습니다. 이 레코더는 **1" 테이프**를 사용하고 **32 트랙**을 녹음했습니다 (16bit, 50kHz).((다른 아날로그 **Reel 레코더**들은 16 트랙이나 24 트랙을 녹음하기 위해 2" 테이프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예를 들어, **Studer J37**은 4, 8 트랙으로 **1" 테이프**를 사용했습니다.)) 아날로그 테이프 레코더와는 달리, 이 디지털 레코더는 **그리스 연필**, **면도날**, | ||
+ | |||
+ | {{정승환_컬럼: | ||
+ | |||
+ | 디지털 녹음의 세계 표준(16bit, | ||
+ | |||
+ | {{정승환_컬럼: | ||
+ | |||
+ | {{정승환_컬럼: | ||
+ | |||
+ | 1992년에는 **ALESIS**사가 VHS 테이프를 사용하는 8 트랙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인 **ADAT**를 개발했습니다. ((DAT라고 불리는 초기 2 트랙 디지털 레코더의 이름을 따서 ADAT(ALESIS DAT)라고 함)) 기존의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었고, Optical 케이블을 통해 128 트랙까지 여러 대의 ADAT 기기를 동기화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여러 대를 연결한 것을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 ||
+ | |||
+ | {{정승환_컬럼: | ||
+ | |||
+ | 1993년에는 **TEAC/ | ||
+ | |||
+ | {{정승환_컬럼: | ||
+ | |||
+ | {{정승환_컬럼: | ||
+ | |||
+ | 이러한 VHS 테이프나 8mm 테이프를 사용하는 디지털 레코더들은 기존의 아날로그나 디지털 1", 2" 레코더들보다 훨씬 저렴했습니다. ((녹음용 테이프의 가격도 훨씬 저렴)) | ||
+ | |||
+ | 후에 이러한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들은 HDD 디스크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진보되었습니다. HDD 레코더들은,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ALESIS HDD 멀티 트랙 레코더**</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TASCAM X-48**</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Mackie HDR 24/ | ||
+ | |||
+ | 1990년대 후반, **컴퓨터에 의한 멀티 트랙 레코딩**이 도입되면서, | ||
+ | |||
+ | 멀티 트랙 레코더를 주로 제작하던 회사들로는,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KORG D888 HDD 레코더, 이것은 HDD 레코더에 디지털 믹서까지 포함된 DAW 입니다.</ | ||
+ | |||
+ | |||
+ | =====컴퓨터 기반 녹음===== | ||
+ | |||
+ | 1990년, **Deck**이라는 최초의 소프트웨어 기반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가 출시되었습니다. 개발자는 **John Dalton**, **Josh Rosen**, **Mats Myberg**였습니다. 이들은 나중에 **Digidesign Pro Tools**를 제작하기도 합니다. | ||
+ | |||
+ | [[https://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BIAS Deck 2.7**</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BIAS Deck 2.6**</ | ||
+ | |||
+ | 1991년 **Pro Tools**가 출시되었고, | ||
+ | |||
+ | **Pro Tools 1.0**\\ | ||
+ | {{ youtube> | ||
+ | |||
+ | **Pro Deck**은 **DSP**를 이용한 4 트랙 믹서/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Pro Tools 1.01**</ | ||
+ | |||
+ | 이후에는 Pro Tools로 이름 통합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Pro Tools 1.01**</ | ||
+ | |||
+ | **Pro Tools 의 역사**\\ | ||
+ | [[https:// | ||
+ | |||
+ | 그 이후로, Cubase, Nuendo, Pro Tools, Logic, Digital Performer 등 수 많은 DAW 들이 개발되었습니다. | ||
+ | |||
+ | --- // | ||
+ | |||
+ | {{tag> | ||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