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유튜버의_잘못된_지식_전파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유튜버의_잘못된_지식_전파 [2024/05/22] – 정승환 | 정승환_컬럼:유튜버의_잘못된_지식_전파 [2025/02/24] (현재) – [컴프레서의 기원에 대한 잘못된 지식 전파 사례] 정승환 | ||
---|---|---|---|
줄 7: | 줄 7: | ||
=====레코딩과 믹싱/ | =====레코딩과 믹싱/ | ||
- | 1. 녹음과정에서 이퀄라이저나 컴프레서를 빼고 녹음하기 시작한건 1980년대 **인라인 콘솔**이 등장하면서, | + | 영상을 지우셨기 때문에 |
- | 2. 믹스에서 버스 컴프레서는 | + | **주장1 : 녹음할 때 클린레코딩 받는 것이 올드스쿨 및 정석이며 이퀄라이저나 |
- | 3. 마스터링은 각각의 플랫폼 별로 각기 다르게 하지 않습니다. 마스터는 " | + | * 녹음과정에서 이퀄라이저나 컴프레서를 빼고 녹음하기 시작한건 1980년대 **인라인 콘솔**이 등장하면서, |
- | * 마스터 2-트랙 : 예전에는 릴 테이프, 지금은 WAV(보통 24bit 48kHz, 96kHz, 믹싱/ | + | |
+ | **주장2 : 믹스버스에는 아무런 프로세싱이 가해져서는 안되며 그러한 버스 프로세싱은 마스터링과정에서 하는 것이 더 좋고 옳다.** | ||
+ | |||
+ | * 믹스에서 버스 컴프레서는 출력 레벨을 일정한 범위 안에 들어오기 위해서 쓴 것입니다. 그것이 마스터링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을 **믹스 버스** 프로세싱이라고 말하고, 엄연히 믹스 과정 중 하나입니다. | ||
+ | |||
+ | |||
+ | **주장3 : 마스터링은 플랫폼, 방송국 별로 기준레벨이 다 다르기 때문에 각 레벨에 맞춰서 마스터를 여러개를 제작해야한다.** | ||
+ | |||
+ | * 마스터링은 각각의 플랫폼 별로 각기 다르게 하지 않습니다. 마스터는 " | ||
+ | * 마스터 2-트랙 : 예전에는 | ||
* 디지털 마스터 : MP3(손실), | * 디지털 마스터 : MP3(손실), | ||
* CD 마스터 : CD 의 스펙인 16bit 44.1kHz에 맞춰서 CD 마스터를 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마스터 2-트랙을 CD 로 버닝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 됩니다. | * CD 마스터 : CD 의 스펙인 16bit 44.1kHz에 맞춰서 CD 마스터를 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마스터 2-트랙을 CD 로 버닝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 됩니다. | ||
- | * LP 마스터 : 예전에는 릴 테이프 마스터(마스터 2-트랙)를 전달하면 그것을 가지고, LP의 네거티브 스탬퍼((LP는 판화 찍듯이 찍어내기 때문에 네거티브 스팸퍼를 만들어서 찍습니다.))를 제작하는 기술자가 재생하다 바늘이 튀는일 없게 하기 위해 LP 바늘선 그루브의 깊이에 맞춰서 작업했습니다. 지금은 오리지널 디지털 마스터(마스터 2-트랙)를 가지고 같은 작업을 합니다. 이것을 혹시 LP에 맞춰 마스터링을 다시 한 것으로 이야기 한다면 할 말이 없습니다. | + | * LP 마스터 : 예전에는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 | 전설적인 레코딩 엔지니어인 알슈미트는 **올드스쿨**의 대표 적인 엔지니어로 모든 녹음을 하실 때 채널스트립을 미리 설정하여 이퀄라이저 컴프레서를 걸고 톤을 잡아서 녹음을 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유튜버의 주장에 따르면 알슈미트는 **빵점**짜리 엔지니어가 되버렸습니다. | + | 전설적인 레코딩 엔지니어인 알슈미트는 **올드스쿨**의 대표적인 엔지니어로 모든 녹음을 하실 때 채널스트립을 미리 설정하여 이퀄라이저 컴프레서를 걸고 톤을 잡아서 녹음을 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유튜버의 주장에 따르면 알슈미트는 **빵점**짜리 엔지니어가 되버렸습니다. |
+ | <WRAP box centeralign> | ||
{{ youtube> | {{ youtube> | ||
+ | 출처 - 김도헌 대림대 교수 유튜브(현재 비공개 처리된 영상)</ | ||
===== 컴프레서의 기원에 대한 잘못된 지식 전파 사례 ===== | ===== 컴프레서의 기원에 대한 잘못된 지식 전파 사례 ===== | ||
- | 컴프레서의 기원이 카세트 테이프의 제한된 다이나믹 레인지 안에서 모든 다이내믹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다이나믹 레인지를 압축(컴프레서)하여 소리를 기록하고, | + | 컴프레서의 기원이 카세트 테이프의 제한된 다이내믹 레인지 안에서 모든 다이내믹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다이내믹 레인지를 압축(컴프레서)하여 소리를 기록하고, |
{{ 음향: | {{ 음향: | ||
- | dbx의 이 기술은 보통 카세트 테이프에 많이 쓰이던 기술이다. 릴 테이프의 경우에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 + | dbx의 이 기술은 보통 카세트 테이프에 많이 쓰이던 기술이다. |
{{ 음향: | {{ 음향: | ||
줄 36: | 줄 46: | ||
아래 유튜버는 컴프레서의 기원이 테이프에 쓰이던 기술로 시작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과 다른 내용입니다. | 아래 유튜버는 컴프레서의 기원이 테이프에 쓰이던 기술로 시작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과 다른 내용입니다. | ||
+ | <WRAP box centeralign> | ||
{{ youtube> | {{ youtube> | ||
+ | 출처 - 김도헌 대림대 교수 유튜브 | ||
+ | </ | ||
=====SMPTE 와 LTC, MTC===== | =====SMPTE 와 LTC, MTC===== | ||
줄 44: | 줄 57: | ||
이 분은 MTC 가 SMPTE 가 아닌것처럼 이야기를 하고 계십니다. | 이 분은 MTC 가 SMPTE 가 아닌것처럼 이야기를 하고 계십니다. | ||
- | SMPTE 라는 타임코드를 전송하는 방식중에 | + | SMPTE라는 타임코드를 전송하는 방식중에 |
- | 사실 이 댓글의 전내용에서 이 유튜버께서는 Alesis의 ADAT가 MTC로 동기화된다고 주장하시지만, | + | 사실 이 댓글의 전 내용에서 이 유튜버께서는 Alesis의 ADAT가 |
- | SSL4000과 같은 콘솔은 주로 SMPTE(LTC)를 통해 레코더와 싱크하였고, | + | SSL4000과 같은 콘솔은 주로 SMPTE를 통해 레코더와 싱크하였고, |
+ | |||
+ | [[https:// | ||
=====이어폰 측정===== | =====이어폰 측정===== | ||
+ | <WRAP box centeralign> | ||
+ | {{ : | ||
+ | 김도헌 대림대교수의 이어폰 측정 방식입니다. 지구상의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재미있는 방식의 이어폰 측정입니다. 이미 한번 크게 논란이 된 적이 있는 것 같습니다. | ||
+ | </ | ||
- | {{ : | + | {{ youtube>-JWHu4OdgXU? |
- | + | ||
- | 지구상의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재미있는 방식의 이어폰 측정입니다. 이미 한번 크게 논란이 된 적이 있는 것 같습니다. | + | |
- | + | ||
- | 출처 : https://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유튜버의_잘못된_지식_전파.171634398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22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