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유튜버의_잘못된_지식_전파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유튜버의_잘못된_지식_전파 [2024/06/09] – [레코딩과 믹싱/마스터링에 대한 잘못된 지식 전파 사례] 정승환 | 정승환_컬럼:유튜버의_잘못된_지식_전파 [2025/02/24] (현재) – [컴프레서의 기원에 대한 잘못된 지식 전파 사례] 정승환 | ||
---|---|---|---|
줄 21: | 줄 21: | ||
* 마스터링은 각각의 플랫폼 별로 각기 다르게 하지 않습니다. 마스터는 " | * 마스터링은 각각의 플랫폼 별로 각기 다르게 하지 않습니다. 마스터는 " | ||
- | * 마스터 2-트랙 : 예전에는 릴 테이프, 지금은 WAV(보통 24bit 48kHz, 96kHz, 믹싱/ | + | * 마스터 2-트랙 : 예전에는 |
* 디지털 마스터 : MP3(손실), | * 디지털 마스터 : MP3(손실), | ||
* CD 마스터 : CD 의 스펙인 16bit 44.1kHz에 맞춰서 CD 마스터를 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마스터 2-트랙을 CD 로 버닝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 됩니다. | * CD 마스터 : CD 의 스펙인 16bit 44.1kHz에 맞춰서 CD 마스터를 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마스터 2-트랙을 CD 로 버닝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 됩니다. | ||
- | * LP 마스터 : 예전에는 릴 테이프 마스터(마스터 2-트랙)를 전달하면 그것을 가지고, LP의 네거티브 스탬퍼((LP는 판화 찍듯이 찍어내기 때문에 네거티브 스팸퍼를 만들어서 찍습니다.))를 제작하는 기술자가 재생하다 바늘이 튀는일 없게 하기 위해 LP 바늘선 그루브의 깊이에 맞춰서 작업했습니다. 지금은 오리지널 디지털 마스터(마스터 2-트랙)를 가지고 같은 작업을 합니다. 이것을 혹시 LP에 맞춰 마스터링을 다시 한 것으로 이야기 한다면 할 말이 없습니다. | + | * LP 마스터 : 예전에는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줄 31: | 줄 31: | ||
<WRAP box centeralign> | <WRAP box centeralign> | ||
{{ youtube> | {{ youtube> | ||
- | 출처 - 김도헌 대림대 교수 유튜브(현재 | + | 출처 - 김도헌 대림대 교수 유튜브(현재 |
===== 컴프레서의 기원에 대한 잘못된 지식 전파 사례 ===== | ===== 컴프레서의 기원에 대한 잘못된 지식 전파 사례 ===== | ||
- | 컴프레서의 기원이 카세트 테이프의 제한된 다이나믹 레인지 안에서 모든 다이내믹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다이나믹 레인지를 압축(컴프레서)하여 소리를 기록하고, | + | 컴프레서의 기원이 카세트 테이프의 제한된 다이내믹 레인지 안에서 모든 다이내믹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다이내믹 레인지를 압축(컴프레서)하여 소리를 기록하고, |
{{ 음향: | {{ 음향: | ||
- | dbx의 이 기술은 보통 카세트 테이프에 많이 쓰이던 기술이다. 릴 테이프의 경우에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 + | dbx의 이 기술은 보통 카세트 테이프에 많이 쓰이던 기술이다. |
{{ 음향: | {{ 음향: | ||
줄 46: | 줄 46: | ||
아래 유튜버는 컴프레서의 기원이 테이프에 쓰이던 기술로 시작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과 다른 내용입니다. | 아래 유튜버는 컴프레서의 기원이 테이프에 쓰이던 기술로 시작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과 다른 내용입니다. | ||
+ | <WRAP box centeralign> | ||
{{ youtube> | {{ youtube> | ||
+ | 출처 - 김도헌 대림대 교수 유튜브 | ||
+ | </ | ||
=====SMPTE 와 LTC, MTC===== | =====SMPTE 와 LTC, MTC===== | ||
줄 65: | 줄 68: | ||
<WRAP box centeralign> | <WRAP box centeralign> | ||
{{ : | {{ : | ||
- | 지구상의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재미있는 방식의 이어폰 측정입니다. 이미 한번 크게 논란이 된 적이 있는 것 같습니다. | + | 김도헌 대림대교수의 이어폰 측정 방식입니다. |
</ | </ | ||
- | {{ youtube> | + | {{ youtube>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유튜버의_잘못된_지식_전파.171791419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09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