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청취_환경에_적합한_스피커를_사용해라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청취_환경에_적합한_스피커를_사용해라 [2024/03/07] – [청취 환경에 적합한 스피커를 사용해라] 정승환 | 정승환_컬럼:청취_환경에_적합한_스피커를_사용해라 [2025/03/17] (현재) – 정승환 | ||
---|---|---|---|
줄 3: | 줄 3: | ||
스튜디오 용 모니터 스피커들의 경우에는 각 청취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스펙으로 출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스튜디오 용 모니터 스피커들의 경우에는 각 청취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스펙으로 출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 | 사실 Dolby 에서 [[정승환_컬럼: | + | 사실 Dolby 에서 [[오디오_프로덕션: |
스피커의 스펙에 보면 MaxSPL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 스피커의 스펙에 보면 MaxSPL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 ||
줄 9: | 줄 9: | ||
이것은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큰 dBSPL에 대한 값입니다. | 이것은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큰 dBSPL에 대한 값입니다. | ||
- | 따라서 | + | 따라서, [[오디오_프로덕션: |
- | 따라서 EBU 표준에 따라 헤드룸을 18dB 로 보면, | + | 따라서 EBU 표준에따라 헤드룸을 18dB로 보면, 85dBSPL+18dBSPL=103dBSPL이 바로 청취 위치에서의 MaxSPL 값이 됩니다. |
- | MaxSPL 값은 보통 1m 앞에서의 값을 측정하게 되므로, 1m 인근에서 설치되는 니어 필드 모니터 스피커의 MaxSPL 은 거의 대부분 103dBSPL 을 겨냥하여 만들어지게 됩니다. 또한 | + | MaxSPL 값은 보통 1m 앞에서의 값을 측정하게 되므로, 1m 인근에서 설치되는 니어필드 모니터 스피커의 MaxSPL 은 거의 대부분 103dBSPL(([[음향: |
- | 그렇다면 MaxSPL 이 115dBSPL 인 스피커의 경우에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 + | 그렇다면 MaxSPL 이 115dBSPL인 스피커의 경우에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
- | 어떤 스피커의 MaxSPL 이 만약 115dBSPL 이면, 이 값도 역시 1m 앞에서의 음량을 측정한 값입니다. 따라서, 이 스피커의 올바른 청취 위치는 1m 앞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니어 필드 스피커가 아닌, 파 필드 스피커라는 이야기 입니다. | + | 어떤 스피커의 MaxSPL 이 만약 115dBSPL 이면, 이 값도 역시 1m 앞에서의 음량을 측정한 값입니다. 따라서, 이 스피커의 올바른 청취 위치는 1m 앞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니어필드 스피커가 아닌, 파필드 스피커라는 이야기 입니다.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줄 23: | 줄 23: | ||
계산을 해보면 이 스피커의 경우 1m 앞에서 115dBSPL, 2배 거리가 되는 2m 앞에서는 109dBSPL, 4m 앞에서는 103dBSPL, 로 재생되게 될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 스피커는 4m 거리에서 청취했을 때 가장 플랫한 주파수 반응이 나오도록 설계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녹음실 엔지니어 작업 자리가 아닌 뒤쪽 쇼파 등에서 프로듀서 및 연주자들이 자리 잡고 있는 곳에서 소리를 듣는 용도라고 봐야겠네요.)) | 계산을 해보면 이 스피커의 경우 1m 앞에서 115dBSPL, 2배 거리가 되는 2m 앞에서는 109dBSPL, 4m 앞에서는 103dBSPL, 로 재생되게 될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 스피커는 4m 거리에서 청취했을 때 가장 플랫한 주파수 반응이 나오도록 설계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녹음실 엔지니어 작업 자리가 아닌 뒤쪽 쇼파 등에서 프로듀서 및 연주자들이 자리 잡고 있는 곳에서 소리를 듣는 용도라고 봐야겠네요.)) | ||
- | 그러한데도 불구하고 , 만약 이러한 스피커를 니어 필드 스피커처럼 1m 앞에서 사용한다면, | + | 그러한데도 불구하고 , 만약 이러한 스피커를 니어필드 스피커처럼 1m 앞에서 사용한다면, |
<WRAP info> | <WRAP info> | ||
- | <WRAP info>또 더욱 중요한 것은, 스피커의 우퍼의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트위터와 우퍼간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최소 청취거리가 멀어지게 됩니다. 방의 체적이 작으면 작을수록 크리티컬 디스턴스는 줄어들게 되므로 적절한 청취위치(스윗스팟)을 찾기가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 + | <WRAP info>또 더욱 중요한 것은, 스피커의 우퍼의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트위터와 우퍼간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최소 청취 거리가 멀어지게 됩니다. 방의 체적이 작으면 작을수록 크리티컬 디스턴스는 줄어들게 되므로 적절한 청취위치(스윗스팟)을 찾기가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
- | 결국 룸사이즈에 맞는 적당한 니어 필드 스피커를 사용하면 크게 문제없는 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 + | 결국 룸사이즈에 맞는 적당한 니어필드 스피커를 사용하면 크게 문제없는 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
**안타까운 일입니다.** | **안타까운 일입니다.** | ||
- | |||
- | 아참 최근의 니어 필드 모니터 스피커들에서는 5인치 모델들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4인치 모델들이 대체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홈레코딩 수요가 높아져서 그런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
더 읽어봐야 할 글들 | 더 읽어봐야 할 글들 | ||
- | * 모니터 스피커 | + | * [[음향: |
- | * [[acoustics: | + | * [[오디오_프로덕션:nearfield_monitoring|니어필드 모니터링]] |
- | * 크리티컬 디스턴스 | + | * [[acoustics: |
- | * 청취거리 | + | * [[음향: |
---- | ---- | ||
줄 48: | 줄 46: | ||
<WRAP centeralign box> | <WRAP centeralign box> |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 | 스피커의 모델별 MaxSPL에 따른 방사거리와 최소 청취거리, | + | 스피커의 모델별 MaxSPL에 따른 방사거리와 최소 청취 거리, 룸의 체적에 의한 크리티컬 디스턴스(Genelec) |
</ | </ | ||
- | =====Reference===== | + | ======Reference====== |
- | https:// | + | * https:// |
--- // | --- // | ||
+ | |||
+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청취_환경에_적합한_스피커를_사용해라.170977767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0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