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헤드폰_앰프의_출력과_헤드폰_임피던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헤드폰_앰프의_출력과_헤드폰_임피던스 [2025/02/03] – [왜 8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정승환 | 정승환_컬럼:헤드폰_앰프의_출력과_헤드폰_임피던스 [2025/03/29] (현재) – [저음 공진 및 부정확한 베이스] 정승환 | ||
---|---|---|---|
줄 151: | 줄 151: | ||
즉, **댐핑팩터는 헤드폰 임피던스를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로 나눈 값**입니다. 일반적으로 **DF 값이 클수록 헤드폰 드라이버를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저음의 응답이 타이트하고 자연스러워집니다.** | 즉, **댐핑팩터는 헤드폰 임피던스를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로 나눈 값**입니다. 일반적으로 **DF 값이 클수록 헤드폰 드라이버를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저음의 응답이 타이트하고 자연스러워집니다.** | ||
- | =====왜 8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 + | =====헤드폰의 임피던스는 헤드폰 출력 임피던스의 |
- | 일반적으로 **헤드폰의 임피던스가 헤드폰 앰프 출력 임피던스보다 최소한 8배 이상 높아야 한다**는 기준이 있습니다.((**“1/ | + | 일반적으로 **헤드폰의 임피던스가 헤드폰 앰프 출력 임피던스보다 최소한 8배 이상 높아야 한다**는 기준이 있습니다.((**“1/ |
+ | |||
+ | <WRAP box centeralign> | ||
+ | {{: | ||
+ | 헤드폰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에 의한 헤드폰 주파수 반응 | ||
+ | </ | ||
1/8 Rule의 의미 | 1/8 Rule의 의미 | ||
- | • 일반적으로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Output Impedance)는 헤드폰의 임피던스(Load Impedance)의 1/8 이하여야 한다는 경험적 법칙입니다. | + | * 일반적으로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Output Impedance)는 헤드폰의 임피던스(Load Impedance)의 1/8 이하여야 한다는 경험적 법칙입니다. |
- | • 예를 들어, 32Ω 헤드폰을 사용할 경우,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는 4Ω 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 | |
근거 | 근거 | ||
- | 1. 주파수 응답 변화 최소화 | + | - 주파수 응답 변화 최소화 |
- | • 출력 임피던스가 높으면 헤드폰의 주파수 응답이 비선형적으로 변할 가능성이 큽니다. | + | |
- | • 특히 다이나믹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경우, 헤드폰의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높은 출력 임피던스는 주파수 응답을 왜곡시킬 수 있습니다. | + | |
- | 2. 댐핑 팩터(Damping Factor) 확보 | + | |
- | • 댐핑 팩터는 “로드 임피던스 ÷ 출력 임피던스”로 정의됩니다. | + | |
- | • 댐핑 팩터가 낮으면 드라이버의 과도 응답(transient response)이 부정확해지고, | + | |
- | • 이상적인 경우 댐핑 팩터가 8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경험적 법칙에서 1/8 Rule이 나온 것입니다. | + | |
- | 3. 실제 적용 사례 | + | |
- | • Sennheiser, Beyerdynamic, | + | |
- | • 일부 헤드폰 앰프 제조사들도 이를 고려하여 출력 임피던스를 낮게 설계합니다. | + | |
출처와 관련 문헌 | 출처와 관련 문헌 | ||
- | • 국제 표준 문서는 아니지만, | + | * 국제 표준 문서는 아니지만, |
- | • NwAvGuy의 블로그(객관적 오디오 리뷰로 유명했던 엔지니어)에서도 이 법칙이 여러 차례 언급되었습니다. | + | |
- | • “Handbook for Sound Engineers”와 같은 오디오 엔지니어링 서적에서도 낮은 출력 임피던스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 | |
결론 | 결론 | ||
줄 196: | 줄 201: | ||
* 이로 인해 **저음이 지나치게 울리거나(공진), | * 이로 인해 **저음이 지나치게 울리거나(공진), | ||
* 헤드폰의 저음 응답이 자연스럽지 않고 부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습니다. | * 헤드폰의 저음 응답이 자연스럽지 않고 부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습니다. | ||
+ | * 이러한 저역의 잔향이 남는 느낌은 실제로 듣기에는 컴프레서가 걸린듯한 느낌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 ||
==== 음의 다이내믹이 줄어듦 ==== | ==== 음의 다이내믹이 줄어듦 ==== | ||
줄 240: | 줄 246: | ||
{{soundcloud> | {{soundcloud> | ||
- | {{tag> | + | {{tag>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헤드폰_앰프의_출력과_헤드폰_임피던스.173852582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2/03 저자 정승환